맨위로가기

대왕 세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왕 세종은 2008년 KBS에서 방영된 86부작 드라마이다. 조선 세종의 일대기를 다루며, 김상경, 김영철, 최명길, 이윤지 등이 출연했다. 제작 과정에서 지진희, 조재현, 이미숙 등이 캐스팅 물망에 올랐으나 최종 출연하지는 못했다. 드라마는 세종의 업적, 특히 한글 창제 과정을 중심으로, 역사적 사건과 인물들을 다루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태조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해적: 바다로 간 산적
    해적: 바다로 간 산적은 2014년 개봉한 한국 영화로, 국새를 삼킨 고래를 잡기 위해 바다로 모험을 떠나는 산적과 해적들의 이야기를 다루며, 866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 조선 태조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대풍수
    《대풍수》는 고려 말 조선 건국을 배경으로, 권력 주변 도사들이 이성계를 내세워 조선을 건국하는 이야기를 다룬 팩션 사극이다.
  • 조선 정종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용의 눈물
    용의 눈물은 조선 초기를 배경으로 태종 이방원의 삶과 왕권 강화를 위한 투쟁을 그린 KBS1 대하드라마로, 배우들의 열연과 짜임새 있는 스토리로 높은 시청률과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역사 왜곡 논란과 폭력적인 묘사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 조선 정종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정도전 (드라마)
    《정도전》은 고려 말 조선 초를 배경으로 정도전의 삶을 다룬 2014년 KBS 대하드라마이며, 조선 건국 과정을 정치인의 시각으로 조명하여 호평을 받았다.
  • 조선 태종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나는 왕이로소이다
    나는 왕이로소이다는 2012년 개봉한 한국 영화로, 세종대왕 즉위 전 3개월을 배경으로 왕이 되기를 거부한 충녕대군이 노비와 옷을 바꿔 입으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루며, 주지훈이 1인 2역을 맡아 연기했다.
  • 조선 태종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조선구마사
    조선구마사는 조선 건국 초기를 배경으로 악귀로부터 백성을 지키려는 태종과 그의 아들 충녕대군, 양녕대군의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로, 악귀와 괴물의 도움으로 고려를 무너뜨린 조선 왕실이 부활한 악귀들의 위협에 맞서는 내용이지만 역사 왜곡 논란으로 2회 만에 조기 종영되었다.
대왕 세종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2. 제작 배경 및 특징

《대왕 세종》은 조선 태종 시대부터 세종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드라마이다. 2008년 1월 4일에 제작 뒷이야기를 다룬 스페셜 방송이 있었으며, 2008년 11월 16일까지 총 86부작으로 방송되었다.

당초 조선 세종 역에는 지진희, 조재현 등이 물망에 올랐으나[114], 성사되지 않았다. 이미숙원경왕후 민씨 역으로 낙점되었으나[115] 개인사정으로 고사했다.

편성은 당초 2007년 12월 첫 회가 나갈 예정이었으나 《대조영》의 연장에 따라[105] 2008년 1월로 변경되었다. 이후 KBS 2TV로 채널을 이동하면서 시청률이 하락했는데,[106] 주말 대하드라마 주요 시청자층인 40대 이상 남성들의 기호를 오판한 것이[107] 컸다. 방영 분량은 80부작에서 6회 연장되어 86부작으로 확정되었다.

2008년에는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베이징 올림픽 중계 등으로 인해 여러 차례 결방되었다.


  • 5월 31일: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한국 VS 요르단> 중계
  • 8월 10일: <여기는 베이징> 축구 예선 <한국 VS 이탈리아> 중계
  • 8월 16일: <여기는 베이징> 편성
  • 8월 17일: 올림픽 관련 특보 편성
  • 8월 23일: <여기는 베이징> 편성

2. 1. 기획 의도

KBS 대하드라마 중 하나로, 한국 방송계에서 성공하기 어렵다고 여겨졌던 이씨 조선 제4대 국왕 세종의 생애를 본격적으로 다룬다.[6] 셋째 아들로 태어나 왕위와 거리가 멀었던 충녕이 왕위에 오르는 과정과, 훈민정음 창제 등 새로 건국된 나라를 안정시키고 문화를 발전시키는 과정을 그린다.[3] 극본은 윤선주와 김태희, 연출은 김성근과 김원석이 담당했다.[7]

2. 2. 제작 과정

《대왕 세종》은 조선 태종 시대부터 세종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드라마이다. 한국 방송계에서 "이미지가 고정되어 있어 드라마화해도 성공하기 어렵다"고 여겨졌던[6] 이씨 조선 제4대 국왕 세종의 생애를 본격적으로 다룬다.

극본은 윤선주와 김태희, 연출은 김성근과 김원석이 담당했다. 제작비는 약 2000억이며, 주조연 출연자는 70명 이상, 엑스트라는 2만 명 이상이 동원되었다.[7] 2007년 10월 9일(한글날)에 촬영이 시작되었다.[7]

당초 KBS 드라마 PD인 이성주 씨가 담당 PD로 낙점되었으나, KBS 드라마 2팀장으로 발령되면서[104] 연출자가 바뀌었다. 2008년 1월 4일에 제작 뒷이야기를 다룬 스페셜 방송이 있었으며, 2008년 11월 16일까지 총 86부작으로 방송되었다. 당초 80부작에서 6회 연장된 것이다.

2009년 대한민국 방송대상(한국방송대상) 장편 TV 드라마 부문과 비디오그래픽스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했고,[18] 윤회 역의 이원종과 소헌왕후 심씨 역의 이윤지가 2008년 KBS 연기대상 장편 드라마 부문 우수 연기상을 남녀로 각각 수상했다.[19]

2. 3. 드라마 특징

이 드라마는 조선 태종 시대부터 세종 시대를 배경으로 하며, 한국 방송계에서 "이미지가 고정되어 있어 드라마화해도 성공하기 어렵다"고 여겨졌던[6] 이씨 조선 제4대 국왕 세종의 생애를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다.

KBS1에서 첫 방송 시 22%의 시청률을 기록했으나,[8] 같은 해 봄 개편에 따라 KBS2로 채널이 변경되면서[9] 시청률이 저조했다.[10]

이정현은 이선 역으로 출연하며 배우 활동을 재개했으나,[13] 성대 결절로 중도 하차했다.[14] 김명곤국립극장 극장장(2000년)과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2006년) 취임을 위해 1999년 이후 중단했던 배우 활동을 재개했다.[15] 최명길이 《용의 눈물》에 이어 원경왕후 민씨 역으로 출연한 것도 화제가 되었다.[16][17]

2009년 대한민국 방송대상(한국방송대상) 장편 TV 드라마 부문과 비디오그래픽스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했고,[18] 이원종 (윤회 역)과 이윤지 (소헌왕후 심씨 역)가 2008년 KBS 연기대상 장편 드라마 부문 우수 연기상을 각각 수상했다.[19]

3. 주요 등장인물

역할배우비고
충녕대군 / 세종김상경아역: 김도현, 청소년: 이현우
태종김영철세종의 아버지
원경왕후최명길세종의 어머니
양녕대군박상민세종의 첫째 형, 아역: 정찬우, 십대: 이인
소헌왕후이윤지세종의 부인, 아역: 남지현
신빈 김씨이정현세종의 후궁
정통제오승윤아역: 김진성
황엄고인범
왕진이대로
황찬김학철
다연정유미
해수하용진황찬의 부하
여진심우창
왕안김용수
옥환김명곤
전행수김승욱
무비정의갑
전일지문천식
장칠상최상길
한영로박용수
평도준배성우
종 정성장세진
종준서진원
정우박정우
구주 장군이종구
이만주신동훈
맹가첩목아방형주
아우함석훈맹가첩목아의 형
김도련이일재
이선(상궁나인)이정현
담이차민지
한상궁김보미
사또조병기
박겸조민준
풍개강지후
기생녀원종례장영실의 어머니
순흥 안씨 부인안해숙세종의 장모
이경숙권성현
오막지선학
이키시마의 수장정종현
통사김선은
야마타김승훈
장원조재완
어리오연서
이순지김홍표
퇴기춘월설지윤
강휘이한갈
노파김지영

[62][63][64]

3. 1. 왕실

다음은 드라마 대왕 세종의 왕실 관련 배역 및 등장인물 정보이다.[62][63][64]

역할배우작품 속 설정 등
충녕대군/세종김상경
아역: 이현우[65]
본명 이도|이도중국어. 태종의 셋째 아들.
소헌왕후이윤지
아역: 남지현[65]
세종의 정비. 심온의 딸.
정종노영국조선 제2대 국왕. 상왕. 효령대군을 귀여워한다.[66]
태종김영철조선 제3대 국왕. 양녕대군, 효령대군, 충녕대군, 성녕대군, 경녕군의 아버지. 충녕대군에게 양위 후 상왕이 됨.
원경왕후최명길태종의 정비. 양녕대군, 효령대군, 충녕대군, 성녕대군의 어머니.
세자/양녕대군박상민
청년: 이준[65]
본명 이제|이제중국어. 태종의 장남. 충녕대군의 형. 왕세자였으나 폐위됨.
세자빈유소영세자/양녕대군의 정실. 김한로의 딸.
효령대군 이보성민
아역: 유태웅[67]
태종의 차남. 충녕대군의 형. 불교에 귀의하여 출가.[41][68]
성녕대군 이우백승도태종의 넷째 아들. 충녕대군의 동생. 홍역으로 14세에 사망.
효빈 김씨김성령태종의 측실. 경녕군의 어머니.
경녕군 이휘윤영준태종효빈 김씨의 아들. 충녕대군의 형.
태조/이성계정두홍[69]조선 초대 국왕. 세종의 할아버지. 회상 장면에 등장.[69]
회안대군 이방간김병춘(특별출연)
양녕대군 이제박상민
(어린 양녕대군 이제 : 정찬우, 소년 양녕대군 이제 : 이인)
수성부부인 광산 김씨여윤정
(20대 시절 수성부부인 김씨 : 유서진)
양녕대군 이제의 부인
예성부부인 해주 정씨권성현- 효령대군 이보의 부인.
신빈 김씨이정현세종의 후궁
계양군 이증안경용세종의 서자. 신빈 청주 김씨 소생.
정선군부인 청주 한씨김민좌계양군 이증의 부인(한확의 딸, 인수대왕대비 한씨의 친정 언니)
김원강인기신빈 청주 김씨의 친정 아버지, 계양군 이증의 외할아버지.
삭녕 고씨 부인서혜린신빈 청주 김씨의 친정 어머니, 계양군 이증의 외할머니.



어머니는 모두 소헌왕후이다.

역할배우작품 속 설정 등
정소공주주다영세종의 장녀. 재생 불량성 빈혈[70]로 13세에 사망.
문종이상엽[71]
아역: 강비
본명 이향. 세종의 장남. 학구적이며 호기심이 많고, 성장 후 아버지의 조력자가 됨.[72]
정의공주이주현세종의 차녀. 학구열이 높아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에 영향을 줌.[72]
세조 (진양대군)서준영[73]
아역: 최민호
세종의 차남. 호방하고 쾌활하며 카리스마가 넘침.[72]
안평대군한시훈
아역: 강한별
세종의 삼남. 예술적 소양을 갖춰 문화 예술 전문가가 됨.[72]
임영대군 이구이재석1450년 당시 32세.
제안부부인 전주 최씨전익령임영대군 이구의 부인.
귀성군 이준안재성임영대군 이구의 차남. 1450년 당시 10세.
청하현주 이씨김지원임영대군 이구의 차녀. 1450년 당시 6세.
순빈 하음 봉씨여민주세자 이향의 두 번째 부인.
승휘 안동 권씨강해인세자 이향의 세 번째 부인이자 세손 이홍위의 생모.
세손 이홍위신동우세자 이향의 외동아들. 1450년 당시 10세.



역할배우작품 속 설정 등
초궁장강경헌정종의 후궁이자 전직 기생. 세자와 밀통하여 소동을 일으킴.[23]
어리오연서세자/양녕대군의 측실. 세자와의 관계가 문제시되어[74] 자결.[75]
세자빈여민주[76]이향의 정실(두 번째). 여종과의 동성애 관계가 발각되어 폐위.
세자빈이향의 정실(세 번째). 출산 후 사망.


3. 2. 조정 대신

드라마 《대왕 세종》에는 다양한 조정 대신들이 등장한다.[62][63][64] 이들은 세종을 지지하는 신왕파, 태종을 지지하는 구왕파, 그리고 그 외의 인물들로 구분된다.

역할배우작품 속 설정 등
박실이원발
이각김광영
김효성이두섭
설순김덕현
구종지김경응
구종수손종범
박팽년윤원석
정창손오용
박습이용진
이순몽장기용


3. 2. 1. 신왕파 (세종 지지)

역할배우작품 속 설정 등
황희김갑수실무 능력이 뛰어났다.[77] 충녕대군의 세자 책봉을 반대하여 관직에서 파면되어 추방당했지만, 사면되어 세종을 섬기며[78], 이후 영의정까지 출세했다.
맹사성안대용활발한 성격으로 음악, 음운, 시에 능했다.[77]
이수조성하효령대군, 충녕대군의 학문 스승. 민씨 형제의 괴문서 사건에서는 진상을 세자/양녕대군에게 알려 제자를 구했다.[21] 정계비(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북방 국경의 석비)를 발견했지만, 왕진의 명령으로 해수에게 살해당했다.[79]
윤회이원종태종과 세종 양쪽 모두에게 신임을 받는 인물. 양자의 의견을 조율하여 대립을 최소화하는 데 기여했다.[77] 술을 좋아해 투옥된 적도 있다.[77]
정인지이진우집현전 소속 학자로, 모든 학문에 통달한 천재. 세종이 충녕대군이었을 때부터 교류가 있었으며, 즉위 후에도 훈민정음 제정에 기여했다.[77]
최만리이성민집현전 소속. 훈민정음 제정에 강경하게 반대하며, 한때 세종의 노여움을 사기도 했다.[77]
김종서이병욱세자/양녕대군의 측근을 자처하며 세종의 반대 세력이었지만, 세종의 북벌론에 찬성한 이후 충실한 신하가 되었다.[77]
최윤덕선동혁무예에 뛰어난 무관. 소헌왕후 폐위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을 때 세종의 편에 서서 무력 제공을 자청했다.[36]
신숙주권세인윤회의 사위.[80]
신장이달형신숙주의 아버지. 세자의 세자사가 되어 아들 숙주와 왕자들의 인연을 맺게 된다.[81] 과로로 사망한다.[51]
변계량김영기외교에 특히 뛰어난 학자. 예문관·집현전에서 수많은 학자들을 길렀다.[81] 여성에 대한 혐오감이 심하여 아내를 심하게 다루어 면직될 뻔하기도 했다.[81]
장영실이천희충녕대군 습격 사건에 사용된 무기를 만든 장본인.[26] 후에 용서받아 세종의 부하가 된다.
이천정현과학자. 경자자·갑인자를 만들고 인쇄 기술 향상에 기여했다.[87]
최해산이대연장영실의 스승. 제자와 함께 훈민정음 연구에 참여했지만, 추격자로부터 영실을 감싸다 절명한다. 사후 자신의 유체를 해부에 헌체한다.[88]
신빈 김씨이정현조정에 섬기는 여관 (※ 하차[14]). 충녕대군/세종을 사모한다.


3. 2. 2. 구왕파 (태종 지지)

배역배우작품 속 설정 등
조말생정동환태종 치세에 도승지를 맡았으나[81] 뇌물(수뢰)로 실각한다. 하지만 군사·병법에 밝아 조정에 복귀한다.[81]
유정현김기현사려 깊고 합리적이지만 보수적인 면모도 보인다.[81] 택현론을 통해 태종에게 양녕대군 폐위를 건의했고,[31][82] 세종 치세에는 대마도 원정에서 삼군도통사로 활약한다.[81]
허조김하균보수적이고 강경한 성격으로, 즉위 후 세종을 견제하지만 세종 치세에 제도 정비에 크게 기여한다.[81]
김문김정학집현전 학자. 출생의 비밀을 간직하고 있으며, 조말생의 부하로서 세종을 곤경에 빠뜨린다.[81]


3. 2. 3. 그 외 대신

역할배우작품 속 설정 등
황희김갑수실무 능력이 뛰어나다.[77] 충녕대군의 세자 책봉을 반대하여 관직에서 파면되어 추방당하지만, 사면되어 세종을 섬기며[78], 이후 영의정까지 출세했다.
맹사성안대용활발한 성격으로 음악, 음운, 시에 능하다.[77]
이수조성하효령대군, 충녕대군의 학문 스승. 민씨 형제의 괴문서 사건에서는 진상을 세자/양녕대군에게 알려 제자를 구했다.[21] 정계비(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북방 국경의 석비)를 발견하지만, 왕진의 명령으로 해수에게 살해당한다.[79]
윤회이원종태종과 세종 양쪽 모두에게 신임을 받는 인물. 양자의 의견을 조율하여 대립을 최소화하는 데 기여했다.[77] 투옥된 적도 있을 정도로 술을 좋아한다.[77]
정인지이진우집현전 소속 학자로, 모든 학문에 통달한 천재. 세종이 충녕대군이었을 때부터 교류가 있었으며, 즉위 후에도 훈민정음 제정에 기여했다.[77]
최만리이성민집현전 소속. 훈민정음 제정에 강경하게 반대하며, 한때 세종의 노여움을 사기도 했다.[77]
엄자치윤기원조정에서 일하는 내시로, 어린 충녕대군을 목숨 걸고 구한 인연으로 측근이 되었다.[77] 훈민정음 제정에도 기여했다.[77]
김종서이병욱세자/양녕대군의 측근을 자처하며 세종의 반대 세력이었지만, 세종의 북벌론에 찬성한 이후 충실한 신하가 되었다.[77]
최윤덕선동혁무예에 뛰어난 무관. 소헌왕후 폐위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을 때 세종의 편에 서서 무력 제공을 자청했다.[36]
신숙주권세인[80]윤회의 사위.
조말생전동환태종 치세 하에서 도승지를 맡았다.[81] 뇌물(수뢰)로 실각하지만, 군사·병법에 밝음을 평가받아 조정에 복귀한다.[81]
유정현김기현사려 깊고 합리적이지만 보수적인 면도 있다.[81] 택현론을 내걸고 태종에게 양녕대군을 세자 자리에서 폐위할 것을 진언했다.[31][82] 세종 치세 때 대마도 원정에 삼군도통사로 활약했다.[81]
허조김하균보수적이고 기가 세며, 즉위 후 세종을 괴롭히지만, 세종 치세 하에서 제도의 정비에 크게 기여했다.[81]
변계량김영기외교에 특히 뛰어난 학자. 예문관·집현전에서 수많은 학자들을 길렀다.[81] 여성에 대한 혐오감이 심하여 아내를 심하게 다루어 면직될 뻔하기도 했다.[81]
김문김종학집현전 소속 학자. 출생의 비밀을 품고 있다. 조말생의 부하로서 세종을 곤경에 빠뜨린다.[81]
신장이대연신숙주의 아버지. 세자의 세자사가 되어 아들 숙주와 왕자들의 인연을 맺게 된다.[81] 과로로 사망한다.[51]
하륜최종원조선 건국 전부터 섬겨 온 원로 대신이자, "좌 하륜, 우 (이)숙번"으로 불린 태종의 측근이자 지기[83]
박은박영지두 차례에 걸친 왕자의 난에서 공을 세운 공신. 반 세자파 = 친 세종파로, 세자/양녕대군이 초궁장 관련으로 소동을 일으켰을 때 세자파의 조정 추방을 꾀했다[84]
심온최상훈소헌왕후의 아버지로 세종에게는 정치적 스승[83]。 세종 즉위 후 영의정이 되었으나, 명나라 체류 중 발언이 박은에게 밀고되어 역모죄로 다스려져 사사된다[83]
강상인전헌태내금위 무관. 왕자 시절부터 태종을 도왔지만[83], 대마도 정벌 당시, 군사 기밀 누설을 군사권을 가진 태종이 아닌 세종에게 보고했기 때문에, 태종의 노여움을 사 옥사한다[85][86]
김한로최주봉세자/양녕대군의 장인. 기생이었던 어리를 자택에 두고 후일 세자/양녕대군에게 소개했다[83]
노희봉황범식태종을 섬기는 내관.
민무구김응수원경왕후의 동생. 왕자의 난 이후 태종의 부하. 세자/양녕대군을 위해 충녕대군을 함정에 빠뜨리려 동생 민무질과 함께 괴문서 사건을 일으키지만, 당사자인 세자/양녕대군에게 엄벌을 요구받아 유배된 후 사사되었다[21]
민무질이경영원경왕후의 동생. 형 무구와 함께 괴문서 사건에 연루된 죄로 유배되었고, 후에 형과 함께 처형된다.
민무휼김현일원경왕후의 동생으로 정예 부대의 장.
민무회이우석원경왕후의 동생.
이숙번김주영태종의 부하. 왕자의 난에서 공을 세워 공신이 되었지만, 그 전횡을 비난받아 유배된다[83]
이종무박상조
장영실이천희충녕대군 습격 사건에 사용된 무기를 만든 장본인[26]。 후에 용서받아 세종의 부하가 된다.
이천정현과학자. 경자자·갑인자를 만들고 인쇄 기술 향상에 기여[87]
최해산이대연영실의 스승. 제자와 함께 훈민정음 연구에 참여했지만, 추격자로부터 영실을 감싸다 절명한다. 사후 자신의 유체를 해부에 헌체한다[88]
신빈 김씨이정현조정에 섬기는 여관(※ 하차[14]). 충녕대군/세종을 사모한다.
영락제명나라 제3대 황제.
황엄고인범명나라 환관으로 칙사.
해주하용진명나라 사신 중 한 명으로 황엄의 통역.
왕진동창의 일원.
영종명나라 제6대 황제.


3. 3. 기타 인물

배역배우작품 속 설정 등
장영실이천희
이천전현
최해산이대연
성조정한헌
한다연정유미한영로의 딸. 연실과 사랑하지만 명나라에 헌상되어 영락제의 측실이 된다.
주고구이병식
영종오승윤
황엄고인범
왕진이대로
황찬김학철
해수하용진
육선재윤갑수
여진심우창
소청윤효식
임선미유순철
조의생한태일
왕안김용수고려 왕족의 생존자이며 고려 부흥 세력의 상징적인 존재[89]
옥환김명곤본명은 왕명[89]. 고려 왕족의 생존자. 작품 속에서는 상단을 이끄는 거상[89]이며 고려 부흥 세력의 수괴. 왕궁 습격 당시 태종 앞에서 자결했다[90]
전 행수김승욱옥환의 책사[89]이며 일지의 숙부. 본명은 반석[91]。조정 측에 붙잡힌 후 자결한다[28]
무비정의갑옥환의 상단을 호위하는 무사.
전일지문천식내시이며 엄자치와 친한 친구. 충녕대군을 감싸다 무비에게 참수되어 절명했다[90]。본명은 왕현[92]
장칠산최상길최해산의 부하이며 고려 부흥 세력의 간자.
한영로박용수고려의 지방 호족이며 부흥 세력의 일원[89]
이만주신동훈
심타납노김육룡
임합라강민석
동맹가방형주
동범찰함석훈
토곤조경호
김도련이일재
이선(상궁나인)이정현청년 충녕대군이 사적으로 마음에 두지만, 상궁나인 이선은 결국 풍질병(천연두)에 걸려[109] 죽음.
함서환김영필[110]
담이민지
김사행이병훈
노희봉황범식
장원조재완
엄자치윤기원
오근김용준
한상궁김보미
사또조병기
박겸주민준
풍개강지후
기생녀(장영실의 어머니)원종례
쇠귀할멈김지영
심온 부인안해숙
황엄의 여동생황미선
이경숙권성현
오막지선학
통사김선은
어리오연서
이순지김홍표
퇴기 춘월설지윤
강휘이한갈
백묘신준영
원정우김영필[111]
정동현양기원[112]
이키시마의 수장정종현
야마타김승훈



쓰시마 원정 장면에 등장한다.

역할배우작품 속 설정 등
소 사다모리장세진[93]쓰시마의 수호대
겐 도치카규슈 탐제
헤이 도젠배성우[94]일본 측이 조선에 보낸 간자. 후, 조선에 귀화한다
헤이 보코곽승남[95]헤이 도젠의 아들. 아버지와 함께 조선에 귀화한다.


4. 역사적 배경과 사건

드라마 《대왕 세종》은 조선 태종과 세종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3] 셋째 아들 충녕대군(훗날 세종)은 왕위 계승과는 거리가 멀었으나, 어린 시절 궁궐 밖 사저에서 생활하며 백성들의 삶을 경험한다. 왕위에 오른 후에는 나라를 안정시키고 문화를 발전시키며, 훈민정음을 창제한다.[3]

이 드라마의 PD는 원래 이성주 씨였으나, KBS 드라마 2팀장으로 발령되면서 연출자가 바뀌었다.[104] 또한, 2007년 12월 첫 방송 예정이었으나 《대조영》의 연장으로 2008년 1월로 변경되었다.[105] 이후 KBS 2TV로 채널을 옮겼으나 시청률이 하락했으며,[106] 40대 이상 남성 시청자들의 기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107]

쓰시마 원정 관련 인물은 다음과 같다.

역할배우작품 속 설정
소 사다모리장세진[93]쓰시마 수호대
겐 도치카규슈 탐제
헤이 도젠배성우[94]일본 측 간자, 훗날 조선에 귀화
헤이 보코곽승남[95]헤이 도젠의 아들, 아버지와 함께 조선에 귀화


4. 1. 국내 정세

태종 치세 하의 조선, 셋째 아들 충녕대군은 "책벌레"라는 별명을 가질 정도로 학문을 좋아했으며, 백성을 위한 정치를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10] 그는 외출 중에 우연히 소동에 휘말려 상인들이 궁핍한 상황에 놓여 있음을 알게 되고, 신문고를 울려 태종에게 직소하지만 일축당하고, 오히려 측근이 고문을 받다 죽는 벌을 받게 된다.[20]

조정 중신들은 충녕대군을 위협적인 존재로 여겨 추방하려 하고, 숙부인 민무구와 민무질 형제는 괴문서 사건을 일으켜 함정에 빠뜨리려 하지만, 충녕대군은 이를 간파한다. 결국 민무구, 민무질 형제는 원경왕후의 탄원에도 불구하고 처형된다.[21]

수년 후, 충녕대군은 명나라 사신의 무리한 요구를 칙사와의 직접 교섭으로 해결하고,[22] 세자의 추문을 감싸거나,[23] 노비의 신분 회복을 위해 움직이는 등[24] 점점 더 왕재로서의 면모를 보인다. 세자는 이에 패배감을 느끼고, 원경왕후 역시 세자의 존재를 위협할 정도로 성장한 충녕대군에게 위기감을 느껴 태종에게 그를 멀리 보낼 것을 진언한다.[25]

그러던 중 충녕대군이 습격당하는 사건이 발생하고, 범인이 고려 부흥 세력의 중심 인물인 옥환임이 밝혀진다. 태종은 고려 왕족이 성을 왕씨에서 바꿔 숨어 있었다는 것을 알고 옥(玉)과 전(全, 田)이라는 성을 가진 모든 사람을 체포하라는 명령을 내린다.[26] 죄 없는 사람들이 고려 왕족과 성이 같다는 이유만으로 죽어가는 것에 분노한[10] 충녕대군은 옥환과 직접 교섭을 시도하지만, 오히려 붙잡히고 세자에게 구출된다.[27] 충녕대군은 포박된 부흥 세력을 처형하라는 명령을 비판하며 "왕자를 그만두겠다"고 말하고, 태종의 노여움을 사 북삼도로 유배된다.[10][28]

2년 후, 북삼도 경성에서 백성들의 신뢰가 두터운 동지의 장군 최윤덕이 파면되고, 도성에서 파견된 이천이 실권을 잡아 여진족을 도발한다.[29] 이를 계기로 세자는 북벌을 결의하고 태종 부부의 부재 시 독단으로 군을 움직여 북벌을 감행한다.[30] 경성에 나타난 세자를 충녕대군은 엄하게 비난한다.[31] 조정에서는 여진족을 도발하고 독단적으로 군을 움직인 세자의 책임 문제가 불거지고, 영의정 유정현은 "장자가 아니라 현자를 선택해야 한다"고 발언한다.[31] 자포자기한 세자는 더욱 방탕한 생활에 빠져들고, 태종은 세자를 자신의 후계자로 삼는 것을 단념하고,[32] 충녕대군을 새로운 세자로 삼는다.[33]

충녕대군은 즉위하여 세종이 되지만, 즉위식 직후 군사권을 가진 상왕 태종이 대마도에 대해 선전포고를 한다.[34] 태종은 더 나아가 정적을 제거하려 하고, 세종의 비 소헌왕후의 아버지 심온을 표적으로 삼아 반역자로 몰아간다. 세종은 고민 끝에 심온의 체포 명령을 내린다. 명나라에 특사로 파견되었던 심온은 "숙청은 내가 마지막으로"라고 결의하고 귀국한다.[35] 「반역자의 딸」이 된 소헌왕후를 폐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소헌왕후 본인도 왕후 자리를 내려놓을 결심을 하지만, 세종은 이를 만류한다.[36][37]

외교적 해결이 어려워지자 세종은 스스로 대마도 원정에 나선다.[38] 대마도 측은 세종 암살 계획이 실패하고,[39] 조선과 대마도를 저울질하던 규슈 측이 대마도 편을 들지 않으면서 열세에 놓인다. 세종과 집현전 학자들은 재정적인 이유로 화해와 철수를 선택하여 정복을 원하는 태종과 일부 중신들을 억누른다.[40]

집중 호우로 인한 수해 등 문제가 끊이지 않자, 조말생은 국왕 탓이라며 세종을 책망한다.[41] 세종은 일식 날 의식을 거행하려 하지만, 일식이 일어나지 않아 입장이 더욱 위태로워진다. 조말생의 부정에 대해 집현전의 장관 박은이 조사를 시작하지만, 유정현의 요구도 있어, 집현전을 지키기 위해 세종은 박은을 파면한다.[42] 한편, 일식 예측을 조사하던 장영실은 명나라와 조선의 천문도가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고, 세종은 조선 고유의 역법을 몰래 추진한다.[43]

귀국한 장영실을 세종은 천체 관측기 제작 책임자로 임명하려 하지만, 노비 계급 출신이라는 이유로 기술자들과 관료들이 반발한다. 세종은 중신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장영실에게 관직을 부여한다.[44] 하지만 중신들의 반발에 장영실은 관직을 반환하려 하고,[45] 세종은 "500년 후의 조선을 위해서도 필요한 인재다"라며 그를 감싸고, 그 모습을 본 중신들은 생각을 고쳐먹는다.[46]

여진족이 국경을 넘어 조선으로 넘어오자, 이들을 받아들이려는 세종과 타 민족과의 혼혈을 싫어하는 조말생 등이 대립한다.[47] 도성에서 일어난 화재 사건에 대해 "북방 민족의 방화가 원인"이라는 소문이 퍼지고, 도성 백성들이 북방 민족을 습격하기 시작한다.[48] 왕궁에 누명을 쓰고 도성 백성들의 표적이 된 북방 민족들이 몰려오고, 세종은 그들 앞에서 무릎을 꿇고 사죄한다.[49] 한편, 소동 속에서 부정으로 조말생이 유배형에 처해지지만,[50] 여진족의 공격에 대한 북방 원정 계획에 따라 세종에게 불려 돌아온다.[51]

같은 시기, 장영실 등이 발명한 '간의'로 수도 한성의 북위 측정이 성공한다.[52] 세종은 기밀을 두 왕자들에게 암기시키고 기록을 파기함으로써 지키려 하지만, 명나라와의 관계 악화를 두려워한 학자 최만리가 명나라에 기록을 넘긴다.[53] 이 일로 세종은 최만리에게 가혹한 인사를 단행하지만, 이에 반발한 세자는 신문고를 울려 내정 중시를 주장한다.[54]

4. 2. 대외 관계

김진성 (아역)명나라 제6대 황제



여진과의 관계는 회유와 강경책을 병행하며 국경 지대의 안정을 도모하였다.



일본과의 관계에서는 쓰시마 원정을 통해 왜구를 소탕하고, 제한적인 교역을 허용하는 정책을 펼쳤다.[93]

역할배우작품 속 설정
종정성장세진쓰시마 수호대
원도진이종구규슈 탐제
평도전배성우일본 측이 조선에 보낸 간자. 후, 조선에 귀화
평망고곽승남평도전의 아들. 아버지와 함께 조선에 귀화



드라마 "대왕 세종"은 일본에서도 방영되었다. 2008년 8월 26일부터 KBS 월드에서 방송되었고, 2009년 8월 27일부터 BS 닛테레에서 방송되었다.[96] 2013년 4월 5일부터 BS11에서 무삭제판이 방송되었고, 2015년 7월 24일부터 BS-TBS에서 방송되었다.

4. 3. 주요 사건

태종이 태상왕으로 물러나고 군사권을 가진 상황에서 세종이 즉위한 직후 대마도 정벌이 단행되었다.[34] 태종은 정적 제거를 위해 세종의 장인인 심온을 반역자로 몰았고, 세종은 고심 끝에 심온의 체포 명령을 내렸다.[35] 소헌왕후가 '반역자의 딸'이라는 이유로 폐위될 위기에 처했으나, 세종은 이를 만류했다.[36][37]

세종은 외교적 해결이 어려워지자 직접 대마도 원정에 나섰다.[38] 대마도 측의 암살 계획은 실패하고[39], 규슈가 조선을 지지하면서 대마도는 열세에 놓였다. 세종은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재정적 이유를 들어 화친과 철수를 결정했다.[40]

잦은 수해로 조말생이 세종을 책망하자,[41] 세종은 일식 예측 실패로 위기에 처했다. 그러나 장영실이 명나라와 조선의 천문도가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고 조선 고유의 역법을 추진하게 되었다.[43] 세종은 장영실을 천체 관측기 제작 책임자로 임명하려 했지만, 노비 출신이라는 이유로 반발에 부딪혔다. 그럼에도 세종은 장영실의 능력을 인정하여 그를 감쌌고, 중신들도 생각을 바꾸게 되었다.[46]

여진족이 국경을 넘어오자 세종은 그들을 포용하려 했으나, 타 민족과의 혼혈을 꺼리는 조말생 등과 대립했다.[47] 도성에서 발생한 화재가 북방 민족의 방화라는 소문이 퍼지면서 백성들이 북방 민족을 공격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세종은 백성들 앞에서 사죄하며 북방 민족을 보호했다.[49] 한편, 장영실 등이 발명한 '간의'로 수도 한성의 북위 측정이 성공했다.[52] 최만리가 명나라와의 관계 악화를 우려하여 명나라에 관련 기록을 넘기자, 세종은 가혹한 인사를 단행했고, 이에 반발한 세자는 내정 중시를 주장하며 맞섰다.[54]

5. 한글 창제 (훈민정음)

세종은 문자 창제 연구에 몰두하던 중 시력이 나빠졌다. 어느 날 소헌왕후의 말에서 조선말에 초성(닿소리), 중성(홀소리), 종성(받침)의 세 종류 소리가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57] 최만리 등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세종은 인체 해부를 통해 발성 메커니즘을 조사하는 등 연구를 계속하여 마침내 훈민정음을 완성한다.[58][59]

시력을 완전히 잃은 세종은 현명해진 백성이 정치에 참여하는 것을 꺼리는 학자들과 독자적인 문자 보급으로 조선의 발전을 두려워한 명나라의 반발에 맞섰다.[60] 결국 최만리를 설득하여 훈민정음을 국내에 반포하게 된다.[61]

5. 1. 창제 배경

세종은 셋째 아들로 태어나 왕위에 오르는 것과는 거리가 멀었다. 그의 어린 시절은 조선이 국내외 정치적 긴장에 직면하면서 격동의 시기를 보냈다. 결국 젊은 왕자는 궁궐 밖 사저에서 생활하며 청년이 될 때까지 평민들의 일상을 경험하게 된다. 왕위에 오른 후 충녕(지금은 세종으로 불림)은 새로 건국된 나라를 안정시키고 번영하는 문화를 일으킨다. 그 과정에서 그는 한국의 문자 체계인 훈민정음을 창제한다.[3]

세자의 진언에 따라 진양대군과 함께 잠행으로 도성에 나선 세종은, 노비에게 칼을 들이받는다. 글을 읽지 못해 주인을 살해했다는 오명을 쓴 노비의 무죄를 증명하기 위해 세종은 분주하게 움직인다. 이 사건을 계기로 세종은 백성 모두가 읽을 수 있는 문자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낀다.[55] 음운서를 집현전에 배포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백성을 위한 법전 번역본 배포를 말하는 세종에게 중신들은 반발하지만, 세종의 열의를 알게 된 영의정 황희가 마음을 바꿔 세종 지지로 돌아선다.[56]

문자 창제 연구에 몰두하던 세종은 시력이 나빠지기 시작한다. 어느 날 소헌왕후의 한마디에 세종은 조선의 말에는 세 종류의 소리 - 초성, 중성, 종성이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57] 문자 창제를 계속 반대하는 말리의 공작이 계속되는 가운데, 세종은 인체를 해부하여 발성의 메커니즘을 조사하려 한다. 시신을 찾아 분주하게 움직이는 영실과 스승 최해상이 추격자에게 쫓기다 해상은 목숨을 잃는다. 유언에 따라 세종은 아랍인 의사와 함께 해상의 시신을 해부하고[58], 연구가 진행되어 마침내 훈민정음이 완성되었다.[59]

시력을 완전히 잃은 세종은 현명해진 백성이 정치에 참여하는 것을 꺼리는 학자들과, 독자적인 문자 보급으로 인한 조선의 발전을 두려워한 명나라의 반발을 받지만, 그들에게 맞서 설득을 계속한다.[60] 마지막까지 강경하게 반대했던 말리가 훈민정음을 마침내 용인[61], 국내에 반포하게 된다.

5. 2. 창제 과정

셋째 아들로 태어난 충녕은 왕위에 오르는 것과는 거리가 멀었다. 그의 어린 시절은 조선이 국내외 정치적 긴장에 직면하면서 격동의 시기를 보냈다. 결국 젊은 왕자는 궁궐 밖 사저에서 생활하며 청년이 될 때까지 평민들의 일상을 경험하게 된다. 왕위에 오른 후 충녕(지금은 세종으로 불림)은 새로 건국된 나라를 안정시키고 번영하는 문화를 일으킨다. 그 과정에서 그는 한국의 문자 체계인 훈민정음을 창제한다.[3]

세자의 진언에 따라 진양대군과 함께 잠행으로 도성에 나선 세종은, 노비에게 칼을 들이받는다. 글을 읽지 못해 주인을 살해했다는 오명을 쓴 노비의 무죄를 증명하기 위해 세종은 분주하게 움직인다. 이 사건을 계기로 세종은 백성 모두가 읽을 수 있는 문자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낀다.[55] 음운서를 집현전에 배포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백성을 위한 법전 번역본 배포를 말하는 세종에게 중신들은 반발하지만, 세종의 열의를 알게 된 영의정 황희가 마음을 바꿔 세종 지지로 돌아선다.[56]

문자 창제 연구에 몰두하는 세종은 시력이 나빠지기 시작한다. 어느 날 소헌왕후의 한마디에 세종은 조선의 말에는 초성, 중성, 종성의 세 종류 소리가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57] 문자 창제를 계속 반대하는 최만리의 공작이 계속되는 가운데, 세종은 인체를 해부하여 발성의 메커니즘을 조사하려 한다. 시신을 찾아 분주하게 움직이는 장영실과 스승 최해상이 추격자에게 쫓기다 해상은 목숨을 잃는다. 유언에 따라 세종은 아랍인 의사와 함께 해상의 시신을 해부한다.[58] 연구가 진행되어 마침내 훈민정음이 완성되었다.[59]

시력을 완전히 잃은 세종은 현명해진 백성이 정치에 참여하는 것을 꺼리는 학자들과, 독자적인 문자 보급으로 인한 조선의 발전을 두려워한 명나라의 반발을 받지만, 그들에게 맞서 설득을 계속한다.[60] 마지막까지 강경하게 반대했던 최만리가 훈민정음을 마침내 용인,[61] 국내에 반포하게 된다.

5. 3. 반포와 의의

세종은 새로 건국된 조선을 안정시키고 문화를 번영시키는 과정에서 한국의 문자 체계인 훈민정음을 창제한다.[3] 세종은 글을 읽지 못해 억울한 누명을 쓴 노비를 보며 백성 모두가 읽을 수 있는 문자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다.[55] 중신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세종은 영의정 황희의 지지를 얻어 문자 창제 연구에 몰두한다.[56]

세종은 소헌왕후의 말에서 힌트를 얻어 조선말의 소리가 초성, 중성, 종성의 세 종류로 이루어져 있음을 깨달았다.[57] 발성 메커니즘을 연구하기 위해 인체 해부까지 시도하며 연구에 매진한 끝에 마침내 훈민정음을 완성한다.[58][59]

시력을 완전히 잃은 세종은 백성들이 정치에 참여하는 것을 꺼리는 학자들과 독자적인 문자 보급으로 인한 조선의 발전을 두려워한 명나라의 반발에 맞서 끈질기게 설득한다.[60] 결국 최만리까지 설득하여[61] 훈민정음을 국내에 반포하게 된다.

5. 4. 역사 왜곡 논란

김종록은 2005년에 발표한 자신의 저서 『장영실은 하늘을 보았다』에서 스토리와 아이디어를 도용했다는 이유로 2008년 10월에 방송 금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으며, 극작가 중 한 명인 윤선주가 표절을 인정했다는 보도가 나왔다.[97] 또한 같은 달, 소설가 김미숙은 자신의 저서 『소설 장영실』에서 등장인물 설정이 여러 부분에서 도용되었다고 소송을 제기했다.[98]

이로 인해 자문위원회가 구성되었지만, 조사 결과 문제가 없다는 발표가 나왔다. 또한 윤선주가 표절을 인정했다고 보도했던 중앙일보는 2009년 2월에 이를 오보라고 사과했다.[99]

5. 5. 표절 논란

2008년 10월, 소설가 김종록은 2005년에 발표한 자신의 저서 『장영실은 하늘을 보았다』에서 스토리와 아이디어를 도용했다는 이유로 방송 금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으며, 극작가 중 한 명인 윤선주가 표절을 인정했다는 보도가 나왔다[97]。 같은 달, 소설가 김미숙은 자신의 저서 『소설 장영실』에서 등장인물 설정이 여러 부분에서 도용되었다고 소송을 제기했다[98]

이로 인해 자문위원회가 구성되었지만, 조사 결과 문제가 없다는 발표가 나왔다. 또한 윤선주가 표절을 인정했다고 보도했던 중앙일보는 이듬해 2009년 2월, 이를 오보라고 사과했다[99]

6. 평가 및 영향

드라마 《대왕 세종》은 조선 태종과 세종 시대를 배경으로 2008년 1월 5일부터 11월 16일까지 총 86부작으로 방송되었다. 당초 KBS 드라마 PD 이성주 씨가 연출을 맡기로 했으나, KBS 드라마 2팀장으로 발령되면서 연출자가 교체되었다.[104]

2007년 12월 첫 방송 예정이었으나, 《대조영》의 연장으로 2008년 1월로 미뤄졌다.[105] 이후 KBS 2TV로 채널을 옮기면서 시청률이 하락했고,[106] 주 시청층인 40대 이상 남성 시청자들의 기호를 파악하지 못한 점이[107]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2008년 시청률은 다음과 같다.

회차방송일TNmS 시청률AGB 시청률
제1회1월 5일20.1%22.3%
제2회1월 6일22.4%23.0%
제3회1월 12일21.5%21.0%
제4회1월 13일21.9%22.5%
제5회1월 19일19.7%21.3%
제6회1월 20일21.2%21.6%
제7회1월 26일18.0%20.0%
제8회1월 27일20.0%21.2%
제9회2월 2일18.5%19.5%
제10회2월 3일20.2%19.2%
제11회2월 9일21.8%21.3%
제12회2월 10일21.9%22.0%
제13회2월 16일20.4%20.4%
제14회2월 17일20.7%20.7%
제15회2월 23일17.2%18.2%
제16회2월 24일20.9%20.8%
제17회3월 1일17.8%21.2%
제18회3월 2일21.1%20.7%
제19회3월 8일17.4%17.4%
제20회3월 9일18.5%18.5%
제21회3월 15일17.0%17.0%
제22회3월 16일19.2%17.9%
제23회3월 22일16.0%17.8%
제24회3월 23일17.4%19.8%
제25회3월 29일18.2%16.9%
제26회3월 30일19.3%19.4%
제27회4월 5일13.8%12.4%
제28회4월 6일18.8%15.9%
제29회4월 12일14.9%14.5%
제30회4월 13일17.0%16.1%
제31회4월 19일14.2%13.5%
제32회4월 20일17.3%16.4%
제33회4월 26일13.8%12.6%
제34회4월 27일17.1%16.5%
제35회5월 3일14.4%13.7%
제36회5월 4일15.7%17.5%
제37회5월 10일15.0%13.2%
제38회5월 11일16.3%16.1%
제39회5월 17일15.4%15.5%
제40회5월 18일17.2%17.3%
제41회5월 24일13.8%13.2%
제42회5월 25일17.0%15.2%
제43회6월 1일15.7%13.9%
제44회6월 7일13.4%12.4%
제45회6월 8일13.9%14.1%
제46회6월 14일12.4%12.9%
제47회6월 15일15.3%15.0%
제48회6월 21일14.1%12.7%
제49회6월 22일10.0%9.7%
제50회6월 28일13.9%13.0%
제51회6월 29일13.8%14.2%
제52회7월 5일12.1%13.2%
제53회7월 6일14.2%14.1%
제54회7월 12일12.0%12.9%
제55회7월 13일14.8%14.3%
제56회7월 19일11.9%12.6%
제57회7월 20일15.5%15.6%
제58회7월 26일13.4%12.7%
제59회7월 27일13.2%12.8%
제60회8월 2일13.0%13.3%
제61회8월 3일12.2%11.9%
제62회8월 9일8.8%10.0%
제63회8월 24일9.5%10.7%
제64회8월 30일11.2%9.7%
제65회8월 31일11.4%11.4%
제66회9월 6일13.3%13.6%
제67회9월 7일16.0%15.1%
제68회9월 13일9.5%10.8%
제69회9월 14일9.1%10.0%
제70회9월 20일13.7%13.0%
제71회9월 21일16.1%15.6%
제72회9월 27일12.0%12.3%
제73회9월 28일14.1%13.4%
제74회10월 4일11.9%11.9%
제75회10월 5일14.7%14.8%
제76회10월 11일12.5%12.5%
제77회10월 18일10.5%10.7%
제78회10월 19일12.5%13.1%
제79회10월 25일8.8%10.7%
제80회10월 26일12.4%13.7%
제81회11월 1일10.1%11.5%
제82회11월 2일11.8%12.3%
제83회11월 8일10.9%11.0%
제84회11월 9일12.3%11.5%
제85회11월 15일11.7%10.7%
제86회11월 16일13.6%13.1%
평균 시청률15.3%15.3%

6. 1. 영향

연도시상식부문수상자결과
2008제2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남자 최우수 연기상김상경후보
2008 KBS 연기대상남자 최우수상김상경후보
여자 최우수상최명길후보
연속극 부문 남자 우수 연기상이원종수상
박상민후보
연속극 부문 여자 우수 연기상이윤지수상
여자 조연상김성령후보
남자 신인상이천희후보
여자 신인상오연서후보
남자 청소년 연기상이현우수상
여자 청소년 연기상여민주후보


참조

[1] 웹사이트 King Sejong the Great https://program.kbs.[...] 2023-05-12
[2] 웹사이트 ko:대왕세종 (KBS 주말드라마) / 케이윌 https://music.bugs.c[...] 2022-03-07
[3] 웹사이트 Epic Dramas Continues to Boom This Year https://www.koreatim[...] 2013-02-22
[4] 웹사이트 Lee Jeong-hyeon returns to television in seven years http://www.hancinema[...] 2013-02-22
[5] 뉴스 '대왕세종', '스페셜방송'으로 '안방 민심' 잡기 http://news.hankooki[...] 韓国日報 2007-12-21
[6] 서적 キネ旬ムック 韓国ドラマで学ぶ朝鮮王朝の歴史 キネマ旬報社
[7] 뉴스 KBS 大河史劇『大王世宗』、10ヶ月大長征終わる http://contents.inno[...] innolife.net 2008-11-13
[8] 뉴스 『大王世宗』、『大祚榮』の人気バトンを受け継いで快速スタート http://contents.inno[...] innolife.net 2008-01-06
[9] 뉴스 チャンネル移動『大王世宗』、ストーリーも急展開 http://contents.inno[...] innolife.net 2008-04-05
[10] 서적 韓国テレビドラマコレクション 2012. キネマ旬報社
[11] 뉴스 『大王世宗』の改編、意外な視聴率下落 http://contents.inno[...] innolife.net 2008-04-08
[12] 뉴스 『大王世宗』、視聴率不振と公営性後退の二重の苦 http://contents.inno[...] innolife.net 2008-04-14
[13] 뉴스 イ・ジョンヒョン、『大王世宗』で女優業を再開 http://contents.inno[...] innolife.net 2008-03-24
[14] 뉴스 イ・ジョンヒョン、声帯結節で『大王世宗』降板 http://contents.inno[...] innolife.net 2008-06-30
[15] 뉴스 "'연기복귀' 김명곤 \"장관이란 역할도 빨리 잊었다\"" http://star.mt.co.kr[...] STARNEWS 2007-10-09
[16] 뉴스 최명길 "10년만에 또 원경왕후, 부담 백배" STARNEWS
[17] 뉴스 최명길 "원경왕후 역은 큰 영광이었다" http://news.itimes.c[...] 仁川日報 2008-07-07
[18] 뉴스 대왕세종 한국방송대상 장편드라마 상 수상 http://www.newsen.co[...] NEWSEN 2009-09-03
[19] 뉴스 [KBS연기대상]'대왕세종' 이원종-이윤지, 男女주간극 우수연기상 http://www.asiae.co.[...] asiae.co.kr 2009-01-01
[20] 뉴스 あらすじ・放送内容 第3話 申聞鼓の波紋 http://www.bs4.jp/gu[...] BS日テレ 2012-08-05
[21] 뉴스 あらすじ・放送内容 第4話 太宗の譲位/第5話 王后の涙 http://www.bs4.jp/gu[...] BS日テレ 2012-05-18
[22] 뉴스 あらすじ・放送内容 第15話 勅使ファンの秘密 http://www.bs4.jp/gu[...] BS日テレ 2012-08-05
[23] 뉴스 あらすじ・放送内容 第18話 上王の怒り http://www.bs4.jp/gu[...] BS日テレ 2012-06-08
[24] 뉴스 あらすじ・放送内容 第21話 世子に生まれた自覚 http://www.bs4.jp/gu[...] BS日テレ 2012-08-05
[25] 뉴스 あらすじ・放送内容 第20話 真の大儀とは http://www.bs4.jp/gu[...] BS日テレ 2012-08-4
[26] 뉴스 あらすじ・放送内容 第26話 ワン氏迫害 http://www.bs4.jp/gu[...] BS日テレ 2012-08-4
[27] 뉴스 あらすじ・放送内容 第27話 革命軍との交渉 http://www.bs4.jp/gu[...] BS日テレ 2012-08-05
[28] 뉴스 あらすじ・放送内容 第28話 王子を辞める http://www.bs4.jp/gu[...] BS日テレ 2012-08-05
[29] 뉴스 あらすじ・放送内容 第33話 女真族の攻撃 http://www.bs4.jp/gu[...] BS日テレ 2012-08-05
[30] 뉴스 あらすじ・放送内容 第35話 忠臣たちの決断 http://www.bs4.jp/gu[...] BS日テレ 2012-08-05
[31] 뉴스 あらすじ・放送内容 第36話 逆徒か賢者か http://www.bs4.jp/gu[...] BS日テレ 2012-07-07
[32] 뉴스 あらすじ・放送内容 第38話 世子の本音 http://www.bs4.jp/gu[...] BS日テレ 2012-08-05
[33] 뉴스 あらすじ・放送内容 第39話 新世子の試練 http://www.bs4.jp/gu[...] BS日テレ 2012-08-05
[34] 뉴스 あらすじ・放送内容 第40話 新王誕生 http://www.bs4.jp/gu[...] BS日テレ 2012-08-05
[35] 뉴스 あらすじ・放送内容 第43話 王の敵を一掃せよ http://www.bs4.jp/gu[...] BS日テレ 2012-08-10
[36]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44話 上王との取引 http://www.bs4.jp/gu[...] 2012-07-07
[37] 뉴스 ‘대왕세종’ 폐서인 위기 몰렸던 비운의 왕비 소헌왕후 http://article.joins[...] joinsmsn 2008-06-08
[38]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45話 対馬討伐の宣言 http://www.bs4.jp/gu[...] 2012-08-10
[39]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46話 故郷のために http://www.bs4.jp/gu[...] 2012-08-10
[40]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48話 政敵を圧迫する術 http://www.bs4.jp/gu[...] 2012-08-10
[41]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49話 天の怒り http://www.bs4.jp/gu[...] 2012-08-10
[42]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51話 パク・ウンの罷免 http://www.bs4.jp/gu[...] 2012-08-10
[43]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53話 朝鮮の空は民のもの http://www.bs4.jp/gu[...] 2012-08-10
[44]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58話 ヨンシルの帰国 http://www.bs4.jp/gu[...] 2012-08-10
[45]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59話 身分制度の崩壊 http://www.bs4.jp/gu[...] 2012-08-10
[46]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60話 500年後への能力 http://www.bs4.jp/gu[...] 2012-08-10
[47]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63話 悲しき再会 http://www.bs4.jp/gu[...] 2012-08-10
[48]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64話 放火事件発生 http://www.bs4.jp/gu[...] 2012-08-10
[49]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65話 泣き虫タミ http://www.bs4.jp/gu[...] 2012-08-10
[50]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66話 マルセンの反乱 http://www.bs4.jp/gu[...] 2012-08-10
[51]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71話 北方征伐の前夜 http://www.bs4.jp/gu[...] 2012-08-10
[52]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72話 漢陽の緯度 http://www.bs4.jp/gu[...] 2012-08-10
[53]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73話 国家機密を守れ http://www.bs4.jp/gu[...] 2012-08-10
[54]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74話 志を立てた場所 http://www.bs4.jp/gu[...] 2012-08-10
[55]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75話 新たなる決意 http://www.bs4.jp/gu[...] 2012-08-10
[56]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76話 政治とは http://www.bs4.jp/gu[...] 2012-08-10
[57]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82話 ヨンシルの心 http://www.bs4.jp/gu[...] 2012-08-10
[58]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84話 儒教国のタブー http://www.bs4.jp/gu[...] 2012-08-10
[59]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85話 訓民正音の誕生 http://www.bs4.jp/gu[...] 2012-08-10
[60]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最終話 偉大なる文字 http://www.bs4.jp/gu[...] 2012-08-10
[61] 뉴스 "한 사람의 눈먼 자가 만인을 눈 뜨게"…‘대왕세종’ 10개월 마감 http://stoo.asiae.co[...] stoo.com 2008-11-16
[62] 웹사이트 대왕세종 등장인물 http://www.kbs.co.kr[...] 2012-07-13
[63] 웹사이트 대왕세종 출연 http://movie.daum.ne[...] 2012-07-13
[64] 웹사이트 大王世宗 人物相関図 http://www.cinemart.[...] 2012-07-13
[65] 뉴스 "'대왕세종' 충녕대군 이현우, 어디서 봤나 했더니.." http://star.mt.co.kr[...] STARNEWS 2008-01-07
[66]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13話 成均館弾圧 http://www.bs4.jp/gu[...] 2012-06-08
[67] 웹사이트 유태웅 소개/작품 http://movie.daum.ne[...] 2012-06-07
[68]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50話 孝寧大君は敵か http://www.bs4.jp/gu[...] 2012-06-27
[69] 뉴스 정두홍 "내가 이성계"… '대왕 세종' 깜짝출연 http://news.naver.co[...] 스포츠한국 2008-01-16
[70]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61話 娘の願い http://www.bs4.jp/gu[...] 2012-05-14
[71] 뉴스 "'코끼리' 이상엽, 첫 사극 도전…'대왕세종' 합류" http://www.asiae.co.[...] asiae.co.kr 2008-09-05
[72] 웹사이트 등장인물 왕자와 공주 http://www.kbs.co.kr[...] 2012-06-27
[73] 뉴스 ‘뿌리’서준영 알고보니 세종아들 전문배우, 버릇까지 닮았네 http://www.newsen.co[...] newsen 2011-11-24
[74]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38話 世子の本音 http://www.bs4.jp/gu[...] 2012-06-08
[75] 뉴스 新人オ・ヨンソ、『大王世宗』で死を迎え退場 http://contents.inno[...] innolife 2008-05-14
[76] 뉴스 신예 여민주, '대왕세종'서 동성애 연기 파문 예고 http://www.asiae.co.[...] asiae.co.kr 2008-09-08
[77] 웹사이트 등장인물 신왕파 http://www.kbs.co.kr[...] 2012-06-27
[78] 뉴스 ‘대왕세종’ 황희, 세종 삼고초려로 조정에 복귀 http://article.joins[...] joinsmsn 2008-07-13
[79]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69話 朝鮮の夢 http://www.bs4.jp/gu[...] 2012-08-04
[80] 뉴스 新人俳優クォン・セイン、ドラマ『大王世宗』シン・スクジュ役にキャスティング http://contents.inno[...] innolife 2008-09-21
[81] 웹사이트 등장인물 구왕파 http://www.kbs.co.kr[...] 2012-07-08
[82] 뉴스 ‘대왕세종’ 양녕-효령-충녕 세자 자리 놓고 치열한 삼파전 http://www.newsen.co[...] newsen 2008-05-11
[83] 웹사이트 등장인물 신하 http://www.kbs.co.kr[...] 2012-08-04
[84]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19話 世子醜聞の波紋 http://www.bs4.jp/gu[...] 2012-08-04
[85] 뉴스 ‘대왕세종’ 정국에 냉혹한 피바람 부른 ‘강상인의 옥사’ http://www.newsen.co[...] newsen 2008-05-26
[86]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42話 カン・サンインの忠義 http://www.bs4.jp/gu[...] 2012-08-04
[87] 웹사이트 등장인물 커운판 http://www.kbs.co.kr[...] 2012-08-04
[88]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84話 儒教国のタブー http://www.bs4.jp/gu[...] 2012-08-04
[89] 웹사이트 등장인물 고려 http://www.kbs.co.kr[...]
[90] 웹사이트 あらすじ・放送内容 第29話 高麗王室の遺言 http://www.bs4.jp/gu[...] 2012-08-04
[91] 서적 大王世宗 DVD-BOX II メディアファクトリー 2009
[92] 서적 大王世宗 DVD-BOX II メディアファクトリー 2009
[93] 웹사이트 Jang Se-jin http://www.hancinema[...] 2012-08-05
[94] 웹사이트 배성우 http://www.gomtv.com[...] 2013-06-12
[95] 웹사이트 Kwak Seung-nam http://www.hancinema[...] 2013-06-12
[96] 웹사이트 大王世宗 ニュース http://www.cinemart.[...] 2012-07-09
[97] 뉴스 KBS 사극 ‘대왕세종’ 표절 논란 http://article.joins[...] 中央日報|joinsmsn 2008-10-29
[98] 뉴스 ‘대왕세종’ 또 표절논란…이번에도 장영실 http://news.donga.co[...] 東亜日報 2008-10-30
[99] 뉴스 [바로잡습니다] KBS ‘대왕세종’ 표절 관련 기사 사실과 달라 http://article.joins[...] joinsmsn 2009-02-09
[100] 웹사이트 O.S.T - 대왕세종 http://music.kyobobo[...] 2012-08-05
[101] 웹사이트 大王世宗(テワンセジョン) DVD-BOX I http://mediafactory.[...] メディアファクトリー 2017-06-04
[102] 웹사이트 대왕세종 (KBS 드라마) (홍콩판) (13discs) http://www.cineline.[...] 2012-08-05
[103] 웹사이트 대왕세종 시리즈 http://book.interpar[...] 2012-08-05
[104] 뉴스 방송3사 드라마국장 "새해엔 이 작품을 주목!" http://entertain.nav[...]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2006-12-29
[105] 뉴스 '대조영' 연말까지 연장.. 연기자 출연협상 남아 http://entertain.nav[...]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2007-06-04
[106] 뉴스 2008년, 어떤 드라마들이 사랑받았나 http://entertain.nav[...] 오마이뉴스 2017-03-15
[107] 뉴스 "[TView]KBS ‘대왕세종’ 채널이동 효과는" http://entertain.nav[...] 스포츠경향 2017-09-11
[108] 뉴스 정두홍 "내가 이성계"… '대왕 세종' 깜짝출연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08-01-16
[109] 문서 후에 조선 세종|세종의 후궁이 될 예정이었으나 배우의 성대 결절로 중도 하차.
[110] 문서 변복한 어리(상궁나인)를 일단 진맥하고 한약 진단 처방 후 궐로 돌려보낸, 저자거리 한약방 사가 함 의원
[111] 문서 대리청정 조선 문종|동궁전 원 내관
[112] 문서 조선 단종|소동궁전 정 내관
[113] 뉴스 KBS '연예가중계'-'개그콘서트', 9시로 자리 이동 http://entertain.nav[...] 스포츠조선 2017-03-15
[114] 뉴스 '대조영' 끝나면… 11월 '세종대왕' 납신다 http://sports.hankoo[...] 스포츠한국 2017-07-14
[115] 뉴스 대하사극 '대왕 세종' 한글날 첫 촬영 http://sports.hankoo[...] 스포츠한국 2017-07-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